Web Analytics
건강 보조 식품
본문 바로가기

건강 보조 식품

heynabba 2023. 4. 10.

자연식품이란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를 맑게 해주어 자연치유력을 강화시켜주는 식품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미, 통밀, 통보리, 기타 각종 야채는 양질의 자연식품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최근 자연식품이란 미명하에 수많은 건강 보조 식품이 범람하고 있어, 자칫 해를 끼치는 경우도 있으리라 본다. 그중에는 이미 언론을 통해 그 폐해와 사기성이 지적된 식품도 있고, 건강 보조 식품으로 훌륭히 기능하는 좋은 식품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는 어떤 식품이 좋고 어떤 식품이 나쁘다는 판정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건강 보조 식품을 선택할 때 유의해야 할 원론적인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자연치유력 강화

우리의 몸은 하나의 거대한 화학 공장이며 상상하기 힘든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생명을 유지해 나가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편한 것만을 추구하는 인간의 심리는 무협소설에나 나오는 '천년 묵은 산삼'이나 '기사회생의 신단'과 같은 묘약을 찾아 두리번거리게 된다.

 

그러한 '신묘한 약'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외적인 힘에 의존하고 싶어하는 그 마음이 자신의 자연치유력을 약화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거듭 말하지만 건강 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생활 습관을 통해 우리 몸에 내재된 근본적 생명력인 자연치유력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이 블로그에서 제시하는 각종 제독법과 자연식, 운동, 심리 요법 등의 자연건강법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일상 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생활 요법이다. 그런데 중증의 난치병으로 인해 현재 자연치유력이 크게 약화된 데다 기혈이 탁해질 대로 탁해져 있는 경우에는 현미 자연식과 운동, 심리 요법만으로는 어떤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경우 자연치유력 강화 작용이 임상적으로 증명된 건강 보조 식품이 필요한 것이며, 이들을 잘 선택해서 활용하면 커다란 효과를 볼 수 있다. 비용 문제가 부담스러울 수도 있으나 병원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생각으로 필요할 때 사용하여 치유효과를 높이는 게 좋겠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식품이고 약이라 하더라도 그 하나가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된다. 그저 자연치유력을 강화하는 여러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프로폴리스

최근 장수 건강식품으로 미국과 일본에서 커다란 붐을 일으키고 있는 대표적인 식품이 하나 있는데, 벌집에서 채취하는 프로폴리스(Propolis)라는 것이 그것이다. 본래 프로폴리스란 나무의 새싹이나 잎줄기, 혹은 연한 가지가 어떤 병과 싸우거나 상처를 입었을 때 나무 스스로가 자가 치료제로 분비하는 끈끈한 액을 말한다.

 

꿀벌은 이 프로폴리스를 모아 벌집의 구멍이나 틈을 막고 지붕을 고정시켜 외부의 오염, 즉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한다. 프로폴리스의 효능을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이지만, 한마디로 '부작용이 전혀 없는 자연산 항생제'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많이 보급되고 있는데, 프로폴리스가 비록 다른 식품에 비해 구하기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은 있지만 자연치유 효과는 참으로 놀랄 만한 것이다.

 

백초분, 솔잎환

백초분이란 100가지 약초를 잘 말려서 가루로 만든 것이고, 솔잎환은 솔잎가루를 주재료로 한 자연식품이다. 이들 식품은 체내의 산소 공급을 촉진하고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강해서, 예로부터 신선들이 먹는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을 만큼 자연치유력 강화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도 어머니의 폐질환을 치료할 당시 이들 식품을 보조로 사용하였고, 이중 솔잎환은 지금도 꾸준히 드시게 하고 있다. 그밖에도 죽염을 비롯한 양질의 자연식품이 많이 있지만, 여기서는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대표적인 몇 가지만 소개한 것이다. 다만 건강 보조 식품은 그야말로 보조 식품에 불과하다는 사실과 함께, 특별히 위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평소 올바른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건강 관리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댓글